요양원의 아침은 일찍 시작됩니다. 7시에 양치와 세수를 하고 8시쯤 아침 식사를 하지요. 10시에 간식을 드리고 기저귀 케어가 들어갑니다. 12시 점심식사를 하고 점심 식사 후에는 또 기저귀 케어를 합니다. 그 다음에는 목욕준비를 합니다. 요일별로 나누어서 하기도 해요. 4시쯤 간식을 먹고 6시에 저녁을 드시고 기저귀케어를 합니다. 7시에는 TV를 보시거나 거실에서 시간을 보내요. 발마사지기로 마사지를 받기도 하지요. 활동이 가능한 어르신의 경우에는 요양원으로 봉사를 오는 선생님들과 노래를 부르거나 만들기 등을 하기도 해요.
요양원에 모실 때 필요한 물건이라면 역시 집에서 사용하시던 애착 베개나 무릎담요가 아닐까 싶어요.
그리고 요양원에 모시는 이유를 어머니께 어떻게 설명해드려야 할지 물으셨는데요. 어머니께서 치매로 딸을 잊었더라도, 피치 못하게 요양원에 모셔서 죄의식이 들더라도 자신 있고 당당하게 설명하고 돌아갔으면 좋겠어요. 마치 아이에게 설명하듯이 잘 설명해야 해요. 그것도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설명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친절하게 말하는 연습도 필요하다고 저는 생각해요.
미혼인 외동딸이 요양원에 어머니를 두고 가면서 이별할 결심이 서지 않자 어머니 몰래 살짝 돌아가는 것을 본 적이 있어요. 저는 그 뒷모습이 몹시 슬펐던 기억이 납니다.
작년에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수프와 이데올로기>에서양영희 감독은 치매로 혼자 생활할 수 없는 엄마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엄마, 우리 집이 두 개지요? 2주 동안 영희가 일하고 올 때까지 혼자 집에 못 있으니까 다른 집에서 생활하고 계시면 제가 일하고 올게요.”
양영희 감독은 엄마를 시설에 모시면서 집에서 보내는 것처럼 가벼운 마음으로 생활하도록 배려하기 위해또 다른 ‘우리 집’으로 표현하고 있어요.
아이들도 평소에 애착관계가 돈독하면 분리불안이 없이 어린이집에 적응하듯이 어쩌면 치매인 어머니를 요양원에 모실 때 설명하는 동안 따님 자신도 평안을 얻으실 거예요. 왜냐하면 아침이 오면 어머니를 만나러 요양원에 갈 수 있으니까요.
그러니까 부디 어머니를 버렸다는 죄책감에서 벗어나서 어머니 돌봄을 위해 자기 돌봄의 지혜도 함께 가져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10년, 20년 간병에도 지치지 않지요. 지속가능한 돌봄을 위해 돌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시기를 바랍니다. 왜냐하면 엄마의 엄마가 되기 위해 더욱 소중한 내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돌봄이 지닌 진정한 가치를 실현시키길 바랍니다.
지난 주에는 대기업 퇴직 후 시작한 사업이 망하고, 이민을 가려는데 중소기업으로부터 근무 제안을 받아 고민하는 분의 사연을 다룬 칼럼을 전해드렸습니다. 김용전 작가는 사연의 주인공이 오너본능과 참모본능을 구분하면 좋겠다는 조언을 주었죠.
이와 관련해 여러분은 오너형 인간인지, 참모형 인간인지 여쭈어 보는 설문을 했는데요. 결과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나는 오너형 인간 VS 참모형 인간?✨
🥇 참모형 74.5%
🥈 오너형 24.5%
'참모형'이 압도적으로 많은 결과가 나왔네요.
김용전 작가의 글에서도 언급되었지만, 큰 조직에서 일하다 보면 자신이 뛰어난 성과를 얻은 데에는 조직의 뒷받침이 있었다는 사실을 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참모형' 독자분 중에 혹시 퇴직 후 사업을 고려하고 있으시다면 조직의 도움 없이도 성공이 가능할 수 있을지 면밀하게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