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세계가 주목하는 빅 이벤트, 미국 대선이 시작됐습니다. 트럼프와 해리스 두 후보의 대결은 워낙 초접전이라고 하죠. 경합주에서의 표 재검표 일정까지 생각하면 대통령 선거 결과를 확인하기까지 일주일이 더 걸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대선 결과가 미국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앞으로 며칠 동안 긴장하며 새로운 소식에 귀를 열고 있어야 겠습니다.🤔
오늘은 글로벌 시선을 담은 콘텐츠를 준비했습니다. 올해 전세계 기업가와 투자자들의 수많은 러브콜을 받은 인도의 소비트렌드 현황, 영국의 인구학자가 제안하는 초고령사회 대응법, 미국 경제학 석학 베리 아이켄그린 교수가 분석한 미 대선 후보들의 기후정책 비교 칼럼까지, 여러분의 글로벌 시야를 넓혀 드릴 깊이있는 내용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
From 미 대선 결과를 두근두근 기다리고 있는 운용감, 연금화 드림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연 7%
GDP에서 가계 소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 60%
소비시장 2030년까지 연12% 성장 예상 (세계은행)
모두 '인도'를 설명하는 수치들입니다.
강력한 내수 시장의 성장은 전세계 투자자들이 인도를 주목하게 만들고 있죠.
14억 인구가 소비에 눈뜨는 바로 그 현장을 목격하며 인도 법인에서 8년을 근무한 미래에셋자산운용 홍준영 상무로부터 인도 현지의 소비 트렌드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또한 우리가 인도 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에 어떤 것이 있는지도 함께 알아보시죠.
🍀 영상에 대한 소감이나 인도에 대한 생각을 투자와연금TV 유튜브 댓글로 달아주시면 글로벌 투자 전문지 THE SAGE INVESTOR 79호를 댁으로 증정해드립니다! 🍀
👇👇👇인도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14억 인도 소비트렌드를 다룬 THE SAGE INVESTOR 79호를 전자책으로 만나세요! 👇👇👇
한국의 지난해 합계 출산율은 0.72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하죠. 이미 2020년부터 사망자가 출생자를 앞지르면서 인구의 자연 감소가 시작됐고, 뉴욕타임스는 2050년이 되면 한국은 홍콩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고령화된 국가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인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국가의 안보와 경제를 뒷받침하는 힘이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지금이야 말로 인구 문제의 해법과 더불어, 투자자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조언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럽의 인구 전문가의 눈으로 고령화 문제를 바라보면 어떤 해답을 찾을 수 있을까요? “인구가 바꾼 역동의 세계사”(Human Tide)의 저자이자 영국의 세계적 인구학자 폴 몰런드(Paul Morland) 런던대 버크벡 칼리지 연구원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