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 지표를 자체 개발한 김주환 연세대 교수는
자신의 저서 『회복탄력성』에서 ‘자기조절능력-대인관계능력-긍정성’이 마음의 근력을 좌우한다고 말한다.
이 세 가지 요소 가운데 특히 긍정적인 마음이 고통을 이겨내는 가장 중요한 비밀병기라고 강조한다. 고통을 이겨내는 힘은 상당 부분 유전되지만 훈련하기에 따라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김주환 교수는 회복탄력성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두 가지를 권고한다.
하나는 감사하는 마음 갖기
다른 하나는 규칙적인 운동
긍정적인 마음을 갖고 있다면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키울 수 있는데,
감사하는 마음 갖기와 규칙적인 운동이 긍정적인 마음을 갖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셰릴 샌드버그와 애덤 그랜트는 그들의 저서 『옵션B』에서 역경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2의 선택’을 제안한다.
직장을 잃었다면 다른 직장을 잡으면 되는 것이고,
배우자를 잃었다면 재혼과 같은 ‘제2의 선택’에도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는 입장이다. ‘옵션 B’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는 ‘자기연민’이다.
자신의 무능함을 탓하기보다 강점에 집중하고, 자신에게 좀 더 관대하고, 자신에게 친절을 베풀라는 것이다.
자기연민의 실천방안으로 매일 잘한 일 세 가지를 떠올려 보고 자신을 칭찬하라고 조언한다. 작은 승리를 맛보는 것만으로도 고통 완화에 도움이 되고 정신건강뿐 아니라 육체건강에도 이롭기 때문이다.
일과에서 잘한 일을 떠올려 보거나 즐거웠던 순간 세 가지를 기억하는 습관만으로도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회복탄력성을 키우기 위한 비법이 담긴 『회복탄력성』과 『옵션B』에 눈길을 끄는
내용이 있는데, 그것은 고정관념으로부터의 탈피다.
김주환 교수는 ‘기능적 고정성(Funtional fixedness)’으로 표현했고, 셰릴 샌드버그는 ‘고정관념의 위협(Streotype threat)’이라고 달리 표현했을 뿐이지 얘기하고자 하는 내용은 동일하다.
고통이나 고난이 닥쳤을 때 고정관념에 사로잡히지 말고 새로운 관점에서 위기를 기회로 바꿔야 한다는 취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