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금화
2021년 ISA 계좌를 만든 분들은 올해가 의무기간 3년을 채우는 시점이죠. ISA 적립금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도 있으실테고, 또 앞으로 ISA 혜택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고도 있어서 그런지 투자자분들의 ISA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 같아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그동안 투자와연금TV에 남겨주신 ISA 관련 질문들!
ISA 만기자금부터 순이익 계산, 가입 기준, 납입한도 기준 등 총 12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2개의 영상으로 나누어 준비해보았습니다.
😁😁😁 1부 😁😁😁
1. 연금계좌에 납입이 없는 상태에서 ISA 만기자금 3,000만원을 연금계좌에 넣으면, 그해 10%인 300만원 추가 세액공제 대상이 되고 2,700만원 중 900만원은 일반납입금으로 인정이 되나요?
2. ISA 만기자금 3,000만원을 연금저축에 이전했는데 추가 세액공제 받은 300만원 외 나머지 2,700만원은 바로 출금 가능한가요?
3. ISA 만기자금을 연금계좌에 이전할 때 연금전환의 세액공제를 이전하는 당해 년도에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다음해 등으로 미루어서 받을 수도 있을까요?
4. ISA 만기가 되어 해지를 하게 되었는데, 상품 또는 주식을 직접 환매/해지 또는 매도해야 하나요? 아니면 알아서 현금화 되나요?
5. ISA의 세제혜택 대상인 순이익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6. 중개형 ISA에서 열심히 투자를 해서 주식 배당금 또는 ETF 분배금을 지급받을 권리를 받았는데 배당금/분배금을 받기 전 ISA 만기가 되어버리면 배당금, 분배금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 영상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