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투자 자산 가격이 많이 하락하여 DC형 및 IRP 계좌를 통해 퇴직연금을 투자하시는 분들께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지금이라도 팔아야 할까요? 끝까지 버텨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한 힌트를 얻으려면 역사적 사례를 찾아보면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문제는 한국의 경우 퇴직연금의 역사가 짧기도 하고 주식 비중도 적어 의미있는 분석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퇴직연금 역사가 긴, 미국 사례를 찾아보았습니다. 미국은 퇴직연금의 주식 비중이 약 60% 가량 되는데요, 최근 20년 가량의 데이터를 들여다 보았습니다.
IT버블 붕괴(2000~2003년),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와 같은 투자 수익률에 부정적인 시기를 지나는 동안, 퇴직연금 수익률은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손실을 회복하는 데에는 얼마나 걸렸을까요?
과거 데이터를 확인해보며 앞으로 연금 투자의 특징을 파악해 보고, 앞으로의 전략과 방향성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영상 보러가려면 클릭🔻
#변동성장세 #연금운용 #인컴형ETF
변동성이 심해진 시장에서 어떤 ETF에 주목해야 좋을까요? 지난주부터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김승현 팀장과 함께 살펴보는 중인데요, 3부작이 모두 업로드 되었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1부] 2022년 상반기 ETF 결산! 변동성 커진 시장에서 주목받는 테마는?' 영상을 통해 최근 인컴형 ETF가 주목받고 있다는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 중에서도 리츠 ETF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