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다시 유행이라고 합니다. 주변에서 기침하는 소리가 들리면 바짝 긴장하게 되는 것 같네요. 이제 공공장소에 갈 때는 마스크를 챙기고, 개인 위생 관리에도 보다 힘을 써야겠습니다. 특히 고령자들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고 하니, 연로하신 부모님이 있으시다면 건강상태도 잘 살펴야겠습니다. 내일이 처서(處暑)라서 더위가 물러가나 했는데 아직은 아닌가 봅니다. 코로나와 무더위의 위협 속에서도 건강하게 8월의 마지막 열흘 이겨나가시길 기원합니다. 🙏
From 코로나의 재습격으로 떨고 있는 운용감, 연금화 드림
☘️☘️☘️ 오늘 준비한 콘텐츠 ☘️☘️☘️
♥️ 투자와연금리포트 67호
📄 노후자금인 나의 퇴직금은 다 어디로 갔나
👉 이런 분들 보시면 좋아요 : 퇴직 후 써야 할 퇴직금이 온전히 남아있지 않다? 근로기간 동안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지 궁금하신 분
♥️ 투자와연금TV
[연금톡톡] "ISA 풍차 돌리기로 내 연금 목돈 만들려면?"
👉 이런 분들 보시면 좋아요 : 지난 ISA 영상에 달린 댓글 질문 풀이 + 세법개정안에 담긴 ISA 관련 개정 내용이 궁금하신 분
[연금톡톡] "ISA 만기자금 왜 연금계좌로 옮기라는거죠?"
👉 이런 분들 보시면 좋아요 : ISA 만기자금을 연금계좌로 옮기면 좋은 이유와 구체적인 방법이 궁금하신 분
♥️ 주간 BEST 칼럼
후대에게 좋은 자본시장을 물려주어야 하는 이유
👉 이런 분들 보시면 좋아요 : 공적연금 고갈과 일자리 부족의 위협을 받는 다음 세대에게 부모 세대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
퇴직금이 노후자금으로 제역할을 하려면 근로기간 동안 충분한 축적이 이뤄진 후 연금화가 진행되어야 하는데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퇴직금의 연금화는 아직 비율이 낮습니다.
과연 어떠한 이유로 퇴직금이 사라지고 있는 것일까요?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가 설문조사를 통해 투자와연금리포트 67호 "노후자금인 나의 퇴직금은 다 어디로 갔나?" 에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5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퇴직연금 축적 실태와 이직 경험, 중도인출 현황 등을 조사하여, 퇴직연금 자산의 누수에 대한 주요 원인과 개선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설문조사 결과 근로자의 퇴직연금자산 축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3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첫째, 퇴직연금 가입 여부
퇴직연금 미가입자의 예상 자산은 평균 9,350만원으로, 퇴직연금 가입자(1억 4,016만원)의 67% 수준에 불과합니다.
둘째, 이직 경험
이직 경험자의 43.8%가 퇴직급여를 모두 사용합니다.
셋째, 퇴직급여 중간정산과 중도인출
50대 직장인 중 35.3%가 중간정산 또는 중도인출을 경험했으며, 그 중 44.2%는 비자발적인(퇴직연금 도입, 임금피크제 적용, 임원 승진 등) 이유로 발생했습니다.
ISA의 만기자금을 연금계좌로 이전하면 추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죠. 그렇게 이전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ISA와 연금계좌를 활용해 목돈 만들기 전략을 세워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지난 영상에서는 만기 자금을 이전할 때 미리 알아야 할 것, 준비, 절차를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영상에서는 지난 영상에 대한 댓글 질문에 답해드리고, 더불어서 지난 달 발표된 세법개정안에서 ISA와 관련된 부분을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ISA와 연금계좌로 목돈 만드는 전략 확인하고 싶다면 클릭! 👇👇👇
👇👇👇ISA만기자금 이전 과정을 상세히 알고 싶다면 클릭👇👇👇
후대에게 좋은 자본시장을
물려주어야 하는 이유
👉 저자 : 이상건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장
지난 50여년간의 한강의 기적은 우리에게 제조업 중심의 경제 구조와 민주주의를 남겨 주었습니다. 과연 지금 우리는 미래 세대를 위해 무엇을 남겨 주어야 할까요. 양극화된 부동산 시장을 남겨 주어야 할까요. 고갈된 국민연금을 남겨 주어야 할까요. 미래를 가늠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좋은 일자리와 훌륭한 자본시장을 남겨주면, 지금 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