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r 투자와연금 뉴스레터 구독자 님께 🤗
2주 전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에서 "2024 우리나라 퇴직연금 백서"를 발간했어요. 우리나라 퇴직연금 가입자들이 얼마나 연금을 적립했고, 수익률은 얼마나 되며, 어디에서 어떻게 투자하고 있는지 정리한 자료에요.
이번 백서에서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저축에서 투자로"의 퇴직연금 운용 변화라고 해요. 아직 적립금을 예금에 두시는 분들이 80%가 넘긴 하지만 그 비중이 빠른 속도로 줄고 있고, 대신 펀드와 ETF 같은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하는 비중이 늘고 있거든요. 그래서 DC형 퇴직연금과 IRP 가입자들의 경우 지난해 높은 수익률을 거두신 분들도 적지 않은 것 같네요.
이번 백서에는 내 수익률의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는 그래프도 나왔다고 하니 꼭 한번 보시고 나의 현재 운용상황을 점검해 보시면 좋겠어요.
From 퇴직연금 수익률 등수 확인 후 뿌듯함을 느끼는 운용감, 연금화 드림 |
|
|
🍀 오늘 준비한 내용, 제목만 찰칵 ! 🍀
📌 [퇴직연금 투자 트렌드] 내 퇴직연금 수익률은 몇 등일까?
📌 [연금투자 쉽게 쉽게] 이렇게 쉬워도 되나? 연금 자산배분 편하게 해주는 솔루션 4
📌 [중국 경제 Inside] 중국 비즈니스, 시장 아닌 기업을 사라고? |
|
|
내 퇴직연금 수익률, 몇 등일까?
👉글 : 오현민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수석매니저 |
|
|
📌 "2024 우리나라 퇴직연금 투자 백서"가 나왔다면서요?
최근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자료로, 우리나라 퇴직연금 제도의 현주소와 변화의 방향이 담겨 있어요.
📌 수익률은 어때요? 퇴직연금 제도별로 다른가요?
제도별로는 IRP(개인형퇴직연금)가 5.86%, DC형은 5.18%, DB형 4.04%를 기록했어요. 근로자가 스스로 운용해야 하는 IRP와 DC형이 실적배당형 비중도 높고, 수익률 분포도 넓어요.
📌 수익률 분포가 다르다고요?
6% 이상 수익률을 거둔 가입자의 비중이 DB형은 1% 미만인 반면, DC형은 8%, IRP는 가입자는 30%정도 되어요. IRP 가입자의 경우 연간수익률이 10%가 넘는 분들이 가입자의 13% 정도 된답니다.
📌 내 IRP 수익률 남들과 비교해 높은지 낮은지 알 수 있을까요?
아래 그래프를 봐주세요! 예를 들어, 내 IRP 연간수익률이 18.2%라면 100명 중 5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
|
📌 와... 투자 열심히 하는 사람들 많네요! 그런데 남들은 퇴직연금을 어디에 투자하고 있는지도 알 수 있나요? |
|
|
이렇게 쉬워도 되나?
연금 자산배분 편하게 해주는 솔루션 4
👉글 : 김동엽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
|
|
📌 퇴직연금 투자 백서 보니 투자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바쁘지만 연금투자는 하고 싶어요 ㅠㅠ 손 덜 가면서, 수익률이 너무 낮지는 않은, 그런 방법 없을까요?
투자 경험도, 역량도, 시간도 많지 않은 직장인에게 자산배분은 쉽지 않은 일이죠. 고액자산가는 금융사의 자산관리 매니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평범한 퇴직연금 가입자가 이런 기회를 갖기는 쉽지 않아요.
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서비스/상품을 고려해보면 어떨까요?
✅ 연금포트폴리오 추천서비스
추천 서비스를 구독하면, 금융사가 가입자의 투자 성향을 고려해 맞춤 포트폴리오를 정기적으로 제공
✅ 랩어카운트
여러 투자 자산을 하나의 포트폴리오로 묶어 운용하는 금융상품
✅ 로보어드바이저
AI를 활용한 포트폴리오 운용
✅ TDF
은퇴 목표시점 기준으로 주식과 채권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생애주기형 펀드
👉각각의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배너를 클릭!
|
|
|
중국 비즈니스, 시장 아닌 기업을 사라!
👉글 : 한우덕 / 중앙일보 차이나랩 선임기자 |
|
|
📌 중국에 세계 최대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작 업체가 있다고요?
네, CATL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입니다. 중국어로는 닝더스다이(寧德時代)에요. 이 회사가 설립된 건 2011년. 2013년 불과 2%에 불과하던 이 회사의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5년 후인 2018년 20%로, 다시 7년이 지난 지금은 40%에 육박하고 있죠.
📌와 어마어마하게 빠른 속도로 성장했네요. 이런 회사에 진작 투자했었으면 좋았을 텐데...!
유망한 기술 벤처기업에 투자하거나, 유니콘 지분을 사들이거나, 증시에서 주식을 사는 것은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의 성장 과실을 나눌 수 있죠. 해외 진출을 고민할 때, 해당 국가에 직접 진출하는 것(시장을 사는 것)보다 빠르게 성장하는 현지 기업에 투자하는 것, 즉, '기업을 사는 것'이 효과적일 수도 있어요.
📌 CATL에 초기 투자했던 회사가 있나요?
CATL 성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업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일본 TDK에요. CATL의 설립자 정위췬(曾毓群)이 원래 TDK의 홍콩 자회사 직원이었죠. 그가 창업하여 만든 회사가 ATL 이었고, TDK는 쑥쑥 커가는 ATL을 2005년 1억 달러에 100% 매입, ATL를 자회사로 편입시켰죠.
📌 윈윈이었나요?
그렇죠! TDK는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원천 기술을 ATL에 제공하고, 그 대신 중국 배터리 시장에서의 위상을 강화할 수 있게 됐던 거에요. 그리고 그 이후 벌어진 일은....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배너를 클릭해주세요! |
|
|
투자와 연금 관련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여러분의 노후에 정말 필요한 정보만 골라서 전해드립니다. |
|
|
investpension-info@miraeasset.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