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중류층
2000년대 초만 해도 일본은 ‘1억 총중류(總中流)’ 사회로 통했습니다.
1억 인구 모두가 중류층으로, 빈부 격차가 적고 풍요로운 ‘일본형 사회’를 뜻하는 용어입니다. 이렇게 불리게 된 배경은 아래와 같은데요.
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일본은 경제 부흥에 나서 1960년대에 고도 경제 성장기에 본격 진입했습니다.
1968년 미국에 이어 국민총생산(GNP) 기준 세계 2위 경제 대국에 올라섰고,
인구는 1970년 1억 명(1억466만)을 돌파했습니다.
고도 경제 성장과 맞물려 일본인들의 중류 의식은 강했습니다.
내각부가 실시하는 ‘국민 생활에 관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1958년 첫 조사에서 자신을 ‘중(中)의 상(上)’ 부터 ‘중의 하(下)’라고 선택한 사람의 비율이 70%를 넘었습니다.
자신을 상(上)이라고 답한 사람은 0.2%, 하(下)는 17.0% 였다고 해요.
중류 비율은 1960년대 중반 80%, 1970년대 90%에 달했습니다.
1990년대 버블 경제 붕괴 이후 2008년까지 이 선을 지켰습니다.
중류보다 아래
두터운 중류층을 자랑하던 일본에서 올 10월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공영방송 NHK가 20~60세 남녀 6,0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중류의 삶을 살고 있나’ 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6%가 ‘중류보다 아래’라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60% 정도가 중류의 조건으로 ‘정규직, 자가 보유, 승용차’를 꼽았습니다.
일본에서 중류층이 줄어든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됩니다.
하나는 장기 침체에 따른 소득 감소
다른 하나는 길어진 노후에 대한 불안
이 두 가지가 가장 큰 이유입니다.
경제 저성장이 이어지면서 1인당 소득은 쪼그라들었습니다.
사회 안전판 역할을 했던 ‘종신 고용’ 제도가 무너지고, ‘비정규직’이 급증했습니다.
대졸 정규직의 생애 임금은 전성기에 비해 3,500만 엔 이상 감소했고,
40대 남성, 전업 주부, 초등학생 두 명인 ‘모델 세대’의 경우 연간 소득이
1990년 576만 엔에서 2020년에 463만 엔으로 떨어졌습니다.
노후 생활에 대한 불안도 ‘중류층’을 줄이는 요인으로 조사됐습니다.
고령화로 노후가 길어지자 은퇴 이후 경제적 부담이 커졌고, 일본의 고령화율(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비율)은 지난해 29%를 기록, 선진국 가운데 가장 높습니다.
독일(22%), 프랑스(21%), 영국, 캐나다(19%), 한국, 미국(17%) 순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환경 탓인지,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도 많은데요.
20~34세 젊은층은 ‘부모보다 풍요로워질까’ 라는 질문에 대해
‘풍요로워질 수 없다’(34%), ‘비슷할 것’(31%), ‘풍요로워질 수 있다’(15%)라고 답했습니다.
(자료 출저 : 제일생명경제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