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어떻게 인플레이션과 연관이 되는 것인지, 저명한 경제학자들의 주장은 무엇인지 한번 알아볼까요?
그리고 이러한 시대에 자산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체크해보겠습니다. 🤔
🔻영상 보러가려면 클릭🔻
노후자산을 예금에만 두다가 '이러면 안 되겠다' 싶어서 금융회사를 찾아가시는 분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막상 상담 상황에서 이런 질문이 많다고 하네요.
"여기는 수수료가 얼마죠?"
"여기는 사은품 뭐 주나요?"
다년간 연금 운용 상담을 해온 미래에셋증권 조경상 팀장은 이제 투자자 분들의 질문이 연금운용의 본질에 좀더 가까워졌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한 권의 책을 추천하고 싶다고 합니다. 바로 LG경제연구원의 조영무 연구위원이 집필한 책 "제로 이코노미"(2020)입니다.
이 책은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경제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는 저성장, 저출산 등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면서 우리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할지 논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노후자산 운용의 힌트는 무엇일까요? 🧐
🔻영상 보러가려면 클릭🔻
#고령화시대 #일본 #공적연금
확 바뀐 일본 공적연금 제도,
무엇이 변했나
글: 최인한 소장(시사일본연구소)
올해 들어 물가 상승과 맞물려 65세 이상 일본 고령자들의 삶이 더 팍팍해졌습니다. 지난 4월부터 공적 연금제도가 바뀌면서 연금 수령액이 줄어든 탓인데요. 노후생활을 주로 연금에 의존해온 고령자들이 ‘연금액 감소’에다 ‘물가 상승’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국가 부채가 많은 일본의 경제 상황과 인구 구조를 감안하면, 공적 연금 지급액이 앞으로 다시 늘어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저출산,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돼 연금 수령액의 축소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에서도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며 연금 고갈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 가고 있는데요. 일본의 공적연금 개정 사례를 살펴보며 한국의 미래를 고민해보고, 또 앞으로의 노후대비 자산은 어떤 전략으로 운용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