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연금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키워드 DRAGON (다시 읽기) 중에 'AI'가 있었죠. 연초부터 전세계가 AI에 대한 관심으로 후끈 달아오른 느낌입니다. 지난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 CES 2024 때문인데요. 이번 CES는 그야말로 AI로 시작해 AI로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고 하죠. AI가 진화를 거듭해, 앞으로 모든 영역에 AI가 스며들게 될 것을 미리 엿볼 수 있는 자리였다고 전해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글로벌 AI 트렌드에 대한 글들을 준비했어요. AI 반도체 관련 독보적인 기술을 가진 엔비디아와 그 경쟁자들의 이야기, 인도에서 꿈틀거리는 AI 산업 이야기까지 두루 보시면서 투자 인사이트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From 새해의 설렘을 아직 간직하고 있는 연금화, 자산군, 봉리 드림
☘️☘️☘️ 오늘 준비한 콘텐츠 ☘️☘️☘️
🤔 글로벌 빅테크의 AI 칩 전쟁 PART 1~2 : 엔비디아의 독주를 막아라
👉 이런 분들 보시면 좋아요 : 엔비디아가 AI 반도체 선두주자로 성장하기까지의 여정,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스타트업 등 AI반도체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는 기업들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싶으신 분
🤔 글로벌 AI 트렌드 돋보기 : 인도는 AI 기술의 잠재적 허브다
👉 이런 분들 보시면 좋아요 : 엔비디아의 창업자 젠슨 황이 인도를 찾아 모리 총리와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는지 궁금하신 분
글 : 김인순 / 인싸이트아웃 대표 출처 : The Sage Investor 76호
엔비디아의 독주를 막아라
🎩 운용감
엔비디아는 생성 AI 붐 시장의 초기 승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엔비디아의 독주 속에 반도체 기업 중에서는 AMD가 그나마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는데요. 이런 와중에 엔비디아의 고객인 빅테크 기업들이 직접 AI 칩을 만들겠다며 엔비디아를 적극적으로 견제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23년 11월 15일 두 개의 칩을 공개했습니다. 소프트웨어부터 하드웨어까지 최적의 생성형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만들어진 것인데요. 마이크로소프트가 생성형 AI 인프라 최강자가 되는 마지막 단추를 끼웠다는 평가를 받고 있죠.
마이크로소프트 뿐만이 아닙니다. 구글, 아마존, 메타, 화웨이도 자체 칩 개발에 나섰습니다. 빅테크와 스타트업들이 AI반도체 시장에 직접 나서고 있는 지금, 앞으로 시장의 판도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글 : 비즈니스월드 (BusinessWorld) / 인도 경제지 출처 : The Sage Investor 76호
👜 연금화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IBM과 같은 회사를 보유한 미국은 AI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중국이고요. 아직 인도는 이 분야에서 뒤처져 있습니다.
하지만 베인 앤 컴퍼니의 보고서에 따르면, 흥미롭게도 인도는 전 세계 AI 인재 시장에 세 번째로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국가라고 해요. 글로벌 AI 시장에서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AI 인재의 16%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엔비디아의 창업자인 젠슨황이 인도를 방문해 모리 총리와 환담을 나누었던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인도의 AI는 얼만큼, 얼마나 발전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