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휴가철이 시작됐습니다. 🏖️ 시원한 곳을 찾아 멀리 떠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집에서 지금 한창 진행중인 올림픽 경기를 시청하며 조용한 휴식을 만끽하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죠. 근로자에게 휴가가 생긴 것은 산업혁명 이후 노동조건 개선 운동과 노동법 제정의 결과라고 합니다. 최초의 유급 휴가는 1936년 6월 프랑스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2주(!)의 휴가를 주었다고 하는데요. 거의 90년이 지난 지금 보기에도 파격적인 정책이죠. 휴가의 길이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 휴식의 질이 아닐까 하는데요. 이번 여름 휴가를 통해 몸과 마음 충분히 재충전하는 시간 가지시면 좋겠습니다!
From 여름 휴가지를 정하지 못한 운용감, 연금화 드림
☘️☘️☘️ 오늘 준비한 콘텐츠 ☘️☘️☘️
♥️ 투자와연금TV :ISA 만기자금 왜 연금계좌로 옮기라는거죠? 어떻게 옮기는거죠?
👉 이런 분들 보시면 좋아요 : ISA 만기자금을 연금계좌로 옮기려고 보니 상품을 다 팔아야 하는지부터 시작해서 여러가지 궁금증이 많이 생기신 분
♥️ EMERGING 인도 돋보기 : 인도 영적 산업, 이제 디지털로 확장하다
👉 이런 분들 보시면 좋아요 : 인생의 중요한 순간마다 점성술에서 지침을 구하는 인도에서 '영적 산업'을 이끌어 나가는 기업은 어떤 곳들이 있나 궁금하신 분
♥️ 행동경제학 거장의 조언 : 돈이 안 모이고 빠져나가게 하는 나쁜 습관, 왜 생겼을까?
👉 이런 분들 보시면 좋아요 : 돈은 벌고 싶은데 쉽게 과거의 소비 습관을 고치지 못하고 있어서 거장의 조언을 듣고 싶으신 분
2021년 중개형 ISA가 도입된 후 3년이 흘렀습니다. 당시 가입하신 분들은 이제 의무가입기간 3년을 거의 채우셨을 텐데요. 비과세 혜택 한도(일반형 200만원/서민형 및 농어민형 400만원)를 소진하신 분들이라면 계좌를 해지하고 ISA를 다시 만드시면 새로운 한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기 혹은 해지 자금은 어디로? 연금계좌로! 이전하면 추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 놓치지 마셔야 할 텐데요. 실질적으로 이전 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이전에 앞서 궁금한 것들 자세히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part1. ISA 만기 해지 시 준비해야 할 것
🤔 part2. ISA 만기 자금을 연금계좌로 이전 시 궁금한 것
🤔 part3. ISA 만기 자금 연금계좌로 이전 시 추가 세액공제 혜택 활용 CASE STUDY
👇👇👇 ISA 만기자금 이전에 대한 모든 궁금증, 해소하고 싶다면 클릭! 👇👇👇
인도의 영적 산업, 이제 디지털로 확장하다
👉글 : 비즈니스월드 (BusinessWorld) / 인도 경제지 👉출처 : THE SAGE INVESTOR 78호
힌두교 가정에서는 신생아에게 이름을 부여하는 명명식을 중요한 전통의식으로 꼽습니다. 가족들은 힌두교 성직자에게 신생아 탄생 순간의 태양과 달, 행성을 기반으로 아기의 별자리 운명을 맡긴다고 하는데요. 신생아에게 이름을 만들어주는 것뿐만 아니라 인도인은 인생의 중요한 순간마다 점성술에서 지침을 구한다고 합니다.
최근 인도에서는 점성술을 비롯해 예배 의식에 이르기까지, 영적인 분야에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어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까지 점성술이 유행하면서 이러한 디지털 트렌드는 더욱 확산되는 추세인데요.
오늘의 운세를 온라인에 게재하는 것 정도가 아니라 점성술과 기술의 융합으로 채팅, 라이브 스트리밍, 통화 서비스까지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이 분야의 핵심 기업들은 어떤 비전과 전략을 갖고 있을까요? 인도의 점섬술 디지털화는 어떤 미래를 가져올까요?
부자가 되기 위해선 4가지 능력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도 돈을 잘 버는 능력을 갖춰야 하고, 번 돈을 잘 모으고, 잘 지킬 수 있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잘 쓰는 능력이 있어야 하죠. 그런데 아무리 돈을 많이 번다고 해도, 번 돈을 모두 써 버린다면 돈을 모을 수 없고, 지킬 돈도 없을 겁니다. 무심코 돈을 쓰다 보면 늘상 저축할 여력은 사라지고, 여지없이 빚만 늘어납니다. 어떻게 하면 내일을 위한 저축을 늘릴 수 있을까요?
이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면 댄 애리얼리와 제프 크라이슬러가 공동 저술한 『부의 감각(Dollas and Sense)』을 탐독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리얼리는 미국 듀크대 경제학과 교수로, 『상식밖의 경제학(Predictably Irrational)』을 통해 이미 널리 알려진 행동경제학자이죠. “인간은 비합리적이지만 행동 패턴은 예측할 수 있다”는 게 애리얼리 교수의 생각입니다.
책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서 돈에 대한 나의 의사결정, 과연 합리적인지 한번 살펴보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