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금요일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 결과에 대해 들어보셨는지요? (자세히 읽으러 가기)
핵심을 요약하자면 고령화 저출생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와 경제성장률 둔화로 인해 국민연금 기금 소진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즉, 연금개혁 논의가 시급하다는 뜻인데요.
프랑스에서는 현재 연금개혁 문제로 거리에 100만명이 몰리는 시위가 전개되고 있고, 오늘 전해드릴 두 칼럼에 따르면 독일, 일본에서도 연금은 뜨겁디 뜨거운 이슈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어떤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지 읽어 보시면서 현재 우리에게 닥친 연금개혁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내 자산관리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일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면 좋겠습니다.
From. 투자와연금 뉴스레터 캐릭터 운용감, 연금화 드림 💌
#일본 #연금개혁 #국민연금 #후생연금
👠 연금화 : 일본에서 연금 개혁 추진중이라는데?
👔 운용감 : 응? 작년에도 제도 변화 있지 않았어? 연금 받기 시작하는 시점을 미루면 더 받을 수 있게 되서, 언제부터 받는게 유리한지 계산하는게 일본의 핫 이슈였다며. (관련 글 읽기)
👠 연금화 : 그거는 작년 이슈이고, 이번엔 두 가지를 쟁점으로 개혁안이 나왔는데, 하나는 국민연금 납부 기한을 늘리는 거고, 또 하나는 우리로 치면 퇴직연금인 후생연금 납부 대상자를 확대하려는 계획인가봐.
👔 운용감 :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18%인데 일본은 28%를 넘기고 있다고 하니... 아무래도 연금 개혁을 피하기 어렵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