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r 투자와연금 뉴스레터 구독자 님께 🤗
찌는 듯한 무더위가 찾아왔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몸도 마음도 지치지 않도록 건강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겠죠. 더울 땐 역시 이벤트죠? 😍이벤트 예고 드립니다😍 여러분의 여름나기를 응원하고자 저희가 2개의 이벤트를 마련했는데요. 내일 목요일에 <워밍업 이벤트>, 그리고 금요일에 <리얼(?) 이벤트> 이렇게 차례로 나갈 예정이에요. 지난 달 투자와연금TV 게시판에서 이벤트 당첨 시 어떤 선물을 가장 받고 싶으신지 설문을 했더니 많은 분들께서 '치킨'을 1순위로 꼽아주셨어요. 그래서 종류별 치킨과 유익한 책들, 선물로 준비하고 있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From 손선풍기가 너무 고마운 운용감, 연금화 드림 |
|
|
🍀 오늘 준비한 내용, 제목만 찰칵 ! 🍀
📌 [투자와연금TV] 부모 VS 자녀, 노후 준비 인식 차이 들여다보기
📌 [연금의 가치] 일찍 죽으면 연금은 손해일까
📌 [투자고전 같이 읽기] 손해 걱정 없이 부를 만든다? '단도투자'의 실전 사례 |
|
|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에서 '부모 자녀 간 노후 준비 인식 조사'를 했다구요? 결과가 너무 궁금한데요!!?
먼저 1부에서는,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가 재무적 노후준비와, 상속에 관한 것들에 대해 얼마나 다르게, 혹은 비슷하게 생각하는지 알아보았어요.
👉 자녀에게 물었습니다
🍀 내 생각에 부모님 노후대비 수준은 이 정도!
🍀 부모님의 노후자금은 이 정도 아닐까?
🍀 부모님께 드리는 용돈 수준, 나의 만족도는...?
🍀 부모님 사후 받을 수 있는 재산은 어느 정도?
👉 부모님께 물었습니다
🍀 내 생각에 나의 노후대비 수준은 이 정도!
🍀 내 생각에 노후자금은 이 정도는 필요할 듯?
🍀 애들한테서 받는 용돈, 나의 만족도는...?
🍀 내가 죽으면 애들한테 어느 정도 남길 수 있을까?
📌 흥미진진한 결과, 레코와 데이지, 워니가 알려드립니다. 과연 결과는....? |
|
|
👇[1부 보기] 부모의 노후생활비, 자녀는 얼마라고 생각할까?👇 |
|
|
2부에서는,
건강 이슈에 좀 더 집중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부모와 자녀가 모두 고민되는 이슈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관련하여 알아두면 좋을 노후대비 정보도 말씀드릴게요!
부모 & 자녀, 우리가 가장 우려하는 상황은?
🍀 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시설급여 차이는?
🍀 요양원 VS 요양병원, 무슨 차이일까?
🍀 고령화를 대비해 고려해볼 보험 |
|
|
👇[2부 보기] 부모가 가장 두려워하는 병, 자녀는 알까? 모를까? 설문 결과 보니 👇 |
|
|
일찍 죽으면 연금은 손해일까?
👉글 : 강성민 / <연금부자습관> 저자, 영우회계법인 회계사, 前 KBS 라디오PD |
|
|
🔍"일찍 죽으면 연금, 손해일까?"
'연금 오래 못 받으면 손해 아닌가요?"
많은 사람들이 은근히 걱정하지만, 실상은 다릅니다.
✅ 국민연금 : 유족이 연금의 일부를 받을 수 있음
✅ 퇴직연금, 개인연금 : 대부분 보증기간을 설정해 사망 시 유가족에게 지급
✅ 연금은 '내가 오래 살아도 돈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보험'
단기적인 수익률보다 노후의 현금흐름을 얼마나 튼튼히 설계하느냐가 핵심!
'손해'라는 착각을 버리고, 연금의 진짜 가치를 다시 바라볼 때 입니다.
👉나의 노후 대비를 위한 연금에 대한 마인드 세팅, 아래의 칼럼에서 확인하세요. |
|
|
[투자고전 같이읽기⑪] 손실 걱정 없이 부를 만들기 위한 9가지 노력
👉글 : 숙향 / <이웃집 워런 버핏, 숙향의 투자 일기>저자 |
|
|
📌 이 책의 저자, 누구신가요?
투자자 모니시 파브라이. 이분은 스스로 워렌 버핏, 찰리 멍거의 철학을 계승해다고 말해요. 혹시 <워런 버핏과의 점심식사>라는 책 아시나요? 그 책의 저자이면서 뛰어난 투자자인, 가이 스파이어의 멘토이기도 해요. 2007년 스파이어를 꼬드겨 버핏과의 점심 경매에 $650,100을 입찰해서 따내게 만든 인물이죠.
📌 '단도' 투자라는 말 처음 들어요. 무슨 뜻이죠? ‘단도’는 인도 구자라트 말로 ‘단(DHAN)’은 ‘부(富)’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다나(DHANA)에 어원을 두고 있어요. 이 책에서 단도는 사실상 위험을 전혀 부담하지 않으면서 부를 창출하는 노력이라고 정의합니다.
📌 주식투자에 적용하자면 단도투자는 어떤 것이죠?
내재가치에 비해 매우 싼, 즉 안전마진이 큰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시장 또는 개별 기업이 일시적 악재로 인해 (크게) 저평가되었을 때 큰 비중으로 투자해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투자법인 것이죠.
📌 아하, 그런데 단도투자, 좀더 구체적인 지침이 있을까요?
저자가 9가지 원칙을 제시했어요.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새로운 사업보다 기존 사업에 투자하라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는 사업에 투자하라 👉침체된 업종의 침체된 사업에 투자하라
👉견고한 경쟁우위, 해자를 갖춘 사업에 투자하라
👉확률이 높을 땐 가끔씩, 큰 규모로 집중 투자하라
👉차익거래 기회에 집중하라
👉항상 안전마진을 추구하라
👉위험은 적고 불확실성은 큰 사업에 투자하라
👉혁신 사업이 아닌 모방 사업에 투자하라
📌 이 책, 어떤 독자가 읽으면 좋을 것 같아요?
✔️ 주식이 무섭고 리스크가 크다고 느끼는 분
✔️ 막연한 투자 정보에 지쳐 '원칙'을 찾고 싶은 분
✔️ 워렌 버핏, 팔리 멍거의 투자 철학을 실전에 적용하고 싶은 분
✔️ '싸게 사서 오래 버티는 법'을 알고 싶은 분
👉아래 버튼을 클릭해 부를 만드는 9가지 원칙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
|
|
투자와 연금 관련 알찬 정보를 꾸준히 받아가세요!
여러분의 노후에 정말 필요한 정보만 골라서 전해드립니다. |
|
|
investpension-info@miraeasset.com
|
|
|
|
|